myhomepage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 – 난양소하록灤陽消夏錄 1-1

난양소하록灤陽消夏錄 1 관혁도인觀奕道人 찬撰 건륭(乾隆) 54년(1789) 기유년 여름에 비적(祕籍: 잘 알려지지 않은 전적)을 순서에 맞게 정리하고…

中國民家紀行 – 17 구이저우성 안순 둔보

구이저우성 안순 둔보 – 토착민을 밀어내고는 요새에 갇혀 산 백성들 구이저우贵州라고 하면 먀오족, 둥족, 부이족, 수이족…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18 도사법倒寫法

도사법倒寫法 【정의】 ‘도사법’은 인물의 성격을 그려내는 매우 독특한 예술 기법이다. 인물의 성격을 그려낼 때는 정면에서 표현하는…

베이징의 사계

위다푸郁達夫 이미 이물異物이 되어버린 고인에 대해 추억하려면 먼저 그나 그녀의 장점을 떠올린 뒤 다시 천천히 생각하다…

중국 고대소설 평점 간론 – 소설평점의 유형 2

2) 문인 형(文人型): 소설평점의 주체성 ‘문인’이라는 단어는 그 함의가 경계를 규정하기 어려운데, 중국 고대에는 그 상황이…

【중콘】 [언어학 특강] 기러기 토마토 스위스

【중콘】 [방과 후 중국어]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非常律師禹英禑 

“제 이름은 똑바로 읽어도 거꾸로 읽어도 우영우입니다. 기러기, 토마토, 스위스, 인도인, 별똥별, 우영우.” 드라마에 나오는 이…

일자일언一字一言21-현賢

어짐, 현명한, 도덕적인, 재능이 있는 등의 뜻으로 해석되는 현(賢)은 뜻을 나타내는 글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가 합쳐져서…

[중콘】 [방과 후 중국어] 잘 까먹는 중국인 嗑瓜子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 – 해제解題와 서序

해제解題 《열미초당필기》는 기윤(紀昀)이 만년에 보고 들었던 것을 회상하여 쓴 필기체 소설이다. 건륭(乾隆) 54년(1789) 비적(秘籍)을 편찬, 출판하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