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사

1 내가 동아시아고대사 수업에서 오랫동안 우려먹고 있는 책이 두 권 있다. 그 첫 번째가 약 15년…

인생의 책, 너무 일찍 만개한 고힐강

최고봉에 오른 인문학 연구자는 대체로 두 가지 유형인 것 같다. 한 분야를 깊이 천착해서 우상이 된…

중국고대사 특강 – 절대군주가 꿈꾼 영생의 기원, 중국 진시황릉

학계의 거장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베네딕트 앤더슨 지음/손영미 옮김, 《베네딕트 앤더슨 자서전: 경계 너머의 삶》, 연암서가, 2019 *사이먼 윈체스터/박중서 옮김, 《중국을…

중국고대사 특강 – 케임브리지 중국고대사 / 의고와신고

동아시아사로 보기의 모델

뭘 공부하는지 대충 안다고 생각해서인지 가까운 동료의 글은 사실 잘 안 읽는다. 그래도 이 경우는 좀…

100년을 뛰처 넘은 싱싱함 : 양계초와 고증학

100년 전에 나온 책이 마치 최근에 나온 것처럼 읽힐 수 있을까? 얼마 전 양계초(1873-1929)의 <중국역사연구법>(유용태 역주,…

독창성 집착의 역설

전문 연구자 누구나 자신의 연구 분야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싶은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런데 문제는 그…

 중국고대사 특강 – 상하이박물관 청동기

중국고대사 특강 – 청동기로 본 고대중국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