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사

1 내가 동아시아고대사 수업에서 오랫동안 우려먹고 있는 책이 두 권 있다. 그 첫 번째가 약 15년…

일자일언一字一言-40-裏

우리말에 ‘속, 겉, 안, 밖’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에 해당하는 한자어는 裏(속 리), 表(겉 표), 內(안 내),…

중국현대사 대장정 4 – 부활, 마오쩌뚱의 반격 2

자오싱의 둥족과 카이리의 먀오족 퉁다오나 리핑 등 후난, 광시, 구이저우가 서로 인접하는 지역에는 소수민족 둥족이 살고…

이지李贄-분서焚書 <예약豫約>

이끄는 말[小引] 내 나이 벌써 칠십이다. 당장 언제 죽을 지도 알 수 없는 노릇이다. 그런데 나는…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 – 난양소하록灤陽消夏錄 2-7

16 동문각(董文恪)공이 일찍이 급제하지 않았을 때 빈 저택에서 살게 되었는데, 어떤 사람이 그 집에 늘 괴이한…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38 수미조응법首尾照應法

수미조응법首尾照應法 【정의】 한 편의 소설 작품은 수미가 서로 조응을 해야 주제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고, 구조를…

고소설구침 제2집 1

『배자어림裴子語林』1   婁護1), 字君卿, 歷游五侯之門. 每旦, 五侯家遺餉之. 君卿口厭滋味, 乃試合五侯所餉之鯖而食, 甚美. 世所謂五侯鯖, 君卿所致.『書鈔』引作君卿之爲也. 『廣記』二百三十四,, 『北堂書鈔』一百四十五.   러우후婁護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