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주《산해경》서<注山海經序>

주《산해경》서<注山海經序> 궈푸郭璞[1] 【原文】 世之覽《山海經》[2]者,皆以其閎誕迂夸[3],多奇怪俶儅[4]之言,莫不疑焉。 嘗試論之曰:莊生有云:󰡒人之所知,莫若其所不知。5)[5]󰡓吾于《山海經》見之矣。夫以宇宙之廖廓[6],群生[7]之紛紜,陰陽[8]之煦蒸[9],萬殊[10]之區分,精氣[11]渾淆[12],自相濆薄[13],游魂靈怪,觸象而構,流形[14]于山川,麗狀[15]于木石者,惡可勝言乎?然則總其所以乖[16],鼓[17]之于一響,成其所以變,混之于一象。世之所謂異,未知其所以異,世之所謂不異,未知其所以不異。何者?物不自異,待我以後異,異果在我,非物異也。故胡人[18]見布而疑黂[19],越人[20]見罽[21]而駭毳[22]。夫玩所習見,而奇所希聞,此人情之常蔽也。今略擧可以明之者,陽火[23]出于氷水,陰鼠[24]生于炎山[25],以俗之論者,莫之或怪,及談《山海經》所載而咸怪之,是不怪所可怪,而怪所不可怪也。不怪所可怪,則幾于無怪矣。怪所不可怪,則未始有可怪也。夫能然所不可,不可所不可然,則理無不然矣。案《汲郡竹書》[26]及《穆天子傳》:穆王西征,見西王母[27],執璧帛之好,獻錦組之屬[28]。穆王享王母于瑤池[29]之上,賦詩往來,辭義可觀。遂襲昆侖之丘,游軒轅之宮[30],眺鍾山[31]之岭,玩帝者之寶,勒石王母之山,紀迹元圃之上[32]。乃取其嘉木艶草。奇鳥怪獸。玉石珍瑰之器。金膏銀燭[33]之寶,歸而殖養之于中國。穆王駕八駿[34]之乘,右服[35]盜驪,左驂[36]騄耳,造父爲御,奔戎[37]爲右,萬里長騖,以周覽四荒[38],名山大川,靡不登濟,東升大人[39]之堂,西燕王母之廬,南轢[40]黿鼉[41]之梁[42],北躡積羽[43]之衢,窮歡極娛,然後旋歸。案《史記》說[44]穆王得盜驪騄耳,驊騮之驥,使造父御之,以西巡狩,見西王母,樂而忘歸。亦與《竹書》同。《左傳》曰[45]:󰡒穆王欲肆其心,使天下皆有車轍馬迹焉。󰡓《竹書》所載,則是其事也。而譙周[46]之徒,足爲通識瑰儒[47],而雅不平此,驗之《史考》以著其妄。司馬遷叙《大宛傳》[48]亦云:󰡒自張騫[49]使大夏之後,窮河源[50],惡賭所謂昆侖者乎?至《禹本紀》[51]。《山海經》所有怪物,余不敢言也。󰡓不亦悲乎!若《竹書》不潛出于千載,以作徵于今日者,則《山海》之言其幾乎廢矣。若乃東方生曉畢方之名[52],劉子政辨盜械之尸[53],王頎[54]訪兩面之客[55],海民獲長臂之衣[56],精驗潛效[57],絶代[58]懸符[59],于戱,群惑者其可以少寤[60]乎?是故聖皇原化[61]以極變[62],象物[63]以應怪[64],鑒無滯[65]賾[66],曲盡幽情,神焉瘦哉[67],神焉瘦哉! 蓋此書跨世七代[68],歷載三千,雖暫顯于漢,而尋[69]亦寢廢[70],其山川名號所在,多有舛[71]謬,與今不同,師訓[72]莫傳,遂將湮泯[73],道之所存,俗之所喪,悲夫!余有惧焉,故爲之創傳,疏其壅閡[74],闢其茀蕪[75],領其玄致[76],標其洞涉[77],庶幾令逸文[78]不墜于世,奇言不絶于今,夏后[79]之迹靡刊[80]于將來,八荒之事,有聞于後裔,不亦可乎!夫蘙薈[81]之翔,叵以論垂天之凌;蹄涔[82]之游,無以知絳虯[83]之騰;鈞天[84]之庭,豈伶人[85]之所躡[86];無航之津[87],其蒼兕[88]之所涉。非天下之至通[89],難與言《山海》之義矣。于戱,達觀博物之客,其鑒之哉! 【우리말 옮김】   세상에서 《산해경山海經》을 읽는 자들은 모두 그것이 황당하고…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 반구班固1) [原文】 《伊尹說》二十七篇2)(其語淺薄,似依托也。) 《鬻子說》十九篇3)(後世所加) 《周考》七十六篇4)(考周事也。) 《靑史子》五十七篇5)(古史官記事也。) 《師曠》六篇6)(見《春秋》7),其言淺薄,本與此同,似因托之。) 《務成子》十一篇8)(稱”堯問”,非古語。) 《宋子》十八篇9)(孫卿道10):”《宋子》,其言黃老意11)。”) 《天乙》三篇12)(天乙謂湯,其言非殷時,皆依托也。) 《黃帝說》四十篇13)(迂誕依托。) 《封禪方說》十八篇14)(武帝時15)。) 《待詔臣饒心術》二十五篇16)(武帝時。) 《待詔臣安成未央術》一篇17)…

형세언型世言 제5회 1

제5회 음부는 남편을 배반하여 죽임을 당하고,협객은 성은을 입어 사면을 받다淫婦背夫遭誅, 俠士蒙恩得宥 고기 배속의 검, 바람을 가르는…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신론新論

신론新論 환탄桓譚1) 【原文】 若其小說家,合叢殘小語2),近取譬論3),以作短書4),治身理家,有可觀之辭。 【우리말 옮김】 소설가와 같은 무리들은 자질구레하고 짧은 말들을 모아, 가까운 것에서 비유적인…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총괄 및 비평 5-3

제5장 총괄 및 비평 3. 전체적 결론 이상의 논의를 통해 이른바 ‘작자의 의도’나 ‘작자의 의의’는 종종…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총괄 및 비평 5-2

제5장 총괄 및 비평 2. 《홍루몽》의 해석 방법에 대한 비평 이상 몇 장의 논의를 통해서 우리는…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총괄 및 비평 5-1

제5장 총괄 및 비평 1. 의미의 연원과 해석의 목표 앞서 머리말에서 본서는 《홍루몽》의 의의가 어떻게 탄생했으며,…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홍루몽》의 특수 독자와 《홍루몽》의 해석 4-9

5. 결론: 허위 진술과 실제 역사 주목할 만한 것은 비평가가 비록 “정말 본 적이 없는 것”이라고…

《홍루몽》과 해석 방법론- 《홍루몽》의 특수 독자와 《홍루몽》의 해석 4-8

4. 지연재 비평의 해석 문제: 자서전설과 반(反)자서전설의 대립 3) ‘합전설(合傳說)’ 및 그 논증 방법 판중궤이의 ‘개작설[增刪說]’에…

우희虞姬에 관하여 4

중국 정사인 『사기』나 『한서』에는 우희의 자결 장면이 기록되지 않았지만, 중국 민간에는 우희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전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