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부지王夫之의 독통감론讀通鑑論 – 권3 한무제漢武帝 11

29. 유굴리(劉屈氂)가 여(戾) 태자를 공격한 것은 창읍왕(昌邑王)의 봉토를 탐냈기 때문이었다 유굴리(劉屈氂)가 여(戾) 태자 유거(劉據)를 공격한 것은…

왕부지王夫之의 독통감론讀通鑑論 – 권3 한무제漢武帝 10

26. 역사가들이 주장하는 음덕(陰德)이 인심과 풍속을 망친다 선한 이는 상을 주기 때문에 선행하는 것이 아니며, 지사(志士)는…

왕부지王夫之의 독통감론讀通鑑論 – 권3 한무제漢武帝 9

23. 호자구(瓠子口)에서 황하 물길을 다스린 것은 하지 않느니보다 못했다 황하의 물길을 다스리는 방법을 알기는 쉽지만 시행하기는…

왕부지王夫之의 독통감론讀通鑑論 – 권3 한무제漢武帝 8

한무제漢武帝 20. 장탕은 속임수를 쓰다가 속임수에 죽었다 장탕은 죄수를 심문하고 압송하던 하급 관리로 있던 시절에 죄수로…

왕부지王夫之의 독통감론讀通鑑論 – 권3 한무제漢武帝 7

한무제漢武帝 17. 무제가 삭방(朔方)과 신진(新秦)으로 백성을 이주시켜 변방이 튼실해지다 무제는 백성을 너무 고생시켰으나 굶주린 백성을 구제한…

왕부지王夫之의 독통감론讀通鑑論 – 권3 한무제漢武帝 6

한무제漢武帝 14. 장탕(張湯)이 오피(伍被)를 처형한 것은 잔혹한 처사가 아니었다 장탕(張湯)은 옥사(獄事)를 담당하며 혹리(酷吏)의 으뜸으로 평가되었지만, 그가…

왕부지王夫之의 독통감론讀通鑑論 – 권3 한무제漢武帝 5

한무제漢武帝 11. 순열(荀悅)의 ‘삼유설(三遊說)’은 학문과 절조를 갖춘 인사들을 장의(張儀)나 소진(蘇秦) 등과 같은 부류로 간주했다 공손홍이 곽해(郭解)를…

왕부지王夫之의 독통감론讀通鑑論 – 권3 한무제漢武帝 4

한무제漢武帝 8. 와해와 붕괴에 관한 서악의 주장은 고금의 성패에 통용되는 법칙이 아니다 서악(徐樂)은 “천하가 근심하는 것은…

왕부지王夫之의 독통감론讀通鑑論 – 권3 한무제漢武帝 3

한무제漢武帝 5. 이광(李廣)과 정불식(程不識)은 각기 장수로서 장점이 있다 사마천은 이렇게 말했다. 흉노는 이광(李廣)의 전략을 두려워했고 병사들도…

왕부지王夫之의 독통감론讀通鑑論 – 권3 한무제漢武帝 2

한무제漢武帝 3. 회남왕 유안이 남월(南越)을 정벌하라고 간언한 것은 사심을 품고 무제에게 간계를 부린 것이다 회남왕 유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