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11 난교속현법鸞膠續弦法

난교속현법鸞膠續弦法 【정의】 ‘난교속현鸞膠續弦’에서 ‘난교鸞膠’는 전설로 전해지는 아교의 일종으로 활줄이 끊어진 것을 이을 수 있다고 한다. 《한무외전漢武外傳》에…

중국 고대소설 평점 간론 – 소설평점의 변천 5

5) 청 중엽 소설평점의 연속 청 중엽 이후, 소설평점은 여전히 발전의 추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이미 전…

일월서각 루쉰문집 1~6

일본 근현대 양심적 지식인의 한 사람인 다케우치 요시미(竹內好)가 뽑고 일본어로 역주한 [루쉰문집]을 중문학자 김정화와 한무희가 한국어로…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10 금침암도법金針暗度法

금침암도법金針暗度法 【정의】 ‘금침’은 말 그대로 황금으로 만든 침이다. 전하는 말로 송대에 16세의 소녀 정차이냥鄭采娘이 칠석 날…

중국 고대소설 평점 간론 – 소설평점의 변천 4

4) ‘사대기서’의 평점 명말청초의 소설평점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은 의심할 바 없이 ‘사대기서’의 평점이다. 이것은 ‘사대기서’가…

루쉰 소개자 김광주金光洲

루쉰 소개자 김광주金光洲 김광주는 일제강점기부터 활동한 소설가인데 흔히 우리나라 무협소설 개척자로 많이 알려져 있다. 요즘은 [칼의…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9 극성법極省法

극성법極省法 【정의】 ‘극성법’은 함축과 절약의 기법으로 경제적인 서술 기교를 가리킨다. 이것 역시 진성탄金聖嘆의 「독제오재자서법讀第五才子書法」 가운데 하나이다.…

중국 고대소설 평점 간론 – 소설평점의 변천 3

3) 명말청초의 소설평점 이른바 명말청초는 이 책에서는 주로 명 천계(天啓), 숭정(崇禎)과 청 순치(順治), 강희(康熙) 사이의 백…

김하중金河中의 루쉰 소설 번역

김광주와 이용규 이후 본격적으로 루쉰의 소설을 번역한 사람은 한학자 이가원이다. 그는 1963년에 노신선집을 출간했고, 1975년에 루쉰의…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8 극불성법極不省法

극불성법極不省法 【정의】   ‘극불성법’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작품 전체의 구성에 있어서 결코 생략되어서는 안 되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