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도 멈추지 못한 홍콩의 시위 코로나19는 세계의 거의 모든 것을 멈춰놓았지만 홍콩의 시위는 계속되었다. 바이러스가 동아시아에서…
[카테고리:] Essay
홍콩보안법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5월24일 홍콩 도심 코즈웨이베이에서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에 반대하는 시위 참가자가 경찰에 체포되고 있다. 홍콩/AP연합뉴스 “침묵하며…
천하의 큰 도회지, 연경을 유람遊覽하다
조선의 동지사(冬至使)가 북경에 도착하면, 관소에 머무르는 기간은 약 40~50여 일입니다. 사행의 1차 목적인 ‘국가 외교업무 수행’외에…
변방의 인문학 23-바다의 역사 2:황해와 재당 신라인
까마득하게 먼 변방을 여행하면서도 수시로 고향나라를 떠올리는 것은 내가 한국인이라서 그렇다. 그러나 지리적으로 가까워질수록 우리 역사가…
변방의 인문학 22-바다의 역사 1:타이완, 아름다운 섬 슬픈 역사
2.28기념관의 희생자를 묘사한 조형물. 대만 본성인 차별 철폐 등을 요구하는 2·28 시위의 희생자를 기리는 기념관의 조형물.…
연경에서 사행외교 펼쳤던 회동관會同館(옥하관玉河館)
조선 사신들의 최종목적지는 연경(燕京)이었습니다. 바로 북경(北京)입니다. 북경은 예나 지금이나 정치·경제·사회·학술·문화예술의 중심지이자 국제외교의 목적지였습니다. 연행사의 활동은 외교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