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위탕林語堂(1895∼1976년)린위탕은 푸졘 성福建省 룽시龙溪(지금의 장저우漳州) 사람이다. 원래 이름은 허러和乐였는데, 나중에 위탕玉堂으로 개명했다가 다시 위탕语堂으로 바꾸었다. 저명한…
[카테고리:] Literature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21 홍운탁월법烘雲托月法
홍운탁월법烘雲托月法 【정의】 류시짜이劉熙載는 《예개藝槪》 「시개詩槪」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산의 정신은 묘사할 수 없어 연기와 이내로 묘사하고,…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 – 난양소하록灤陽消夏錄 1-3
7. 창주성(滄州城) 남쪽 상하애(上河涯)에 여사(呂四)라는 한 무뢰배가 살고 있었다. 여사는 성격이 난폭하고 못하는 짓이라고는 없었기에 마을…
차이스커우菜市口
쉬친원許欽文(1897∼1984)쉬친원은 원래 이름이 쉬성야오许绳尧로 저쟝 성浙江省 산인山阴 사람이다. 1917년 항저우 성립 제5사범학교杭州省立第五师范学校를 졸업하고 모교의 부속 소학교에…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20 동중견인법動中見人法
동중견인법動中見人法 【정의】 ‘동중견인법’은 ‘동중사인법動中寫人法’이라고도 부른다. 이것은 모순이 충돌하는 가운데 단도직입적으로 인물의 언어와 행동을 묘사해서, 인물의 동작과…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 – 난양소하록灤陽消夏錄 1-2
4. 동광(東光) 사람 이우담(李又耼) 선생이 한번은 완평(宛平) 재상의 폐허가 된 정원에 갔다가 회랑에서 시 두수를 발견했다.…
톈챠오天橋 풍경
야오커姚克(1905~1991)야오커는 저명한 번역가 겸 극작가이다. 본명은 야오즈이姚志伊이며, 야오커는 필명이다. 안후이 성安徽省 시 현歙县 사람으로 푸졘 성福建省…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 – 난양소하록灤陽消夏錄 1-1
난양소하록灤陽消夏錄 1 관혁도인觀奕道人 찬撰 건륭(乾隆) 54년(1789) 기유년 여름에 비적(祕籍: 잘 알려지지 않은 전적)을 순서에 맞게 정리하고…
중국 고대소설 평점 간론 – 소설평점의 유형 3
3) 종합 형(書商型): 소설평점의 독서 지도적 성격(導讀性) 소설평점 가운데 가장 가치 있는 것은 종합형의 평점 유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