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2 경물영츤법景物映襯法

경물영츤법景物映襯法 【정의】 ‘경물영츤법’은 간단하게 말해서 작품 속의 주변 환경 묘사를 통해 인물 형상의 성격 특징을 드러내고,…

루쉰의 인상 2

지금은 확실히 몇 년 몇 월인지 기억나지 않지만, 내가 루쉰의 이름을 처음 알게 된 것은 구제舊制…

와호장룡의 책읽기 9 『중국영화 이야기』

이시찬, 《중국영화이야기》, 신아사, 2021. 02. 20 이 책은 영화라는 매개를 통해 독자들이 중국과 대만의 역사와 문화의…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1 개문견산법開門見山法

개문견산법開門見山法 【정의】 무슨 일이든 시작하기도 마무리하기도 어려운 법이다. 소설 역시 그러한데, 첫 머리에서 독자의 마음을 확…

루쉰의 인상 1

서문 이번에 『루쉰의 인상』이 「가도가와 선서」에 들어 중판重版되었다. 『루쉰의 인상』이 처음 고단샤講談社에서 출판된 것은 쇼와 23년(1948년)이었지만,…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 《이견을지夷堅乙志》서序

《이견을지夷堅乙志》서序 훙마이洪邁[1] 【原文】 《夷堅初志》成,士大夫或傳之。今鏤板於閩於蜀於婺於臨安[2],蓋家有其書。人以予好奇尙異也,每得一說或千里寄聲,於是五年間又得卷帙多寡與前篇等,乃以《乙志》名之。凡甲乙二書,合爲六百事,天下之怪怪奇奇盡萃於是矣。夫齊諧之志怪[3],莊周之談天[4],虛無幻茫,不可致詰;逮干寶之《搜神》[5],奇章公之《玄怪》[6],谷神子之《博異》[7],《河東之記》、《宣室之志》、《稽神之錄》[8],皆不能無寓言於其間。若予是書,遠不過一甲子[9],耳目相接,皆表表有据依者。謂予不信,其往見鳥有先生而問之[10]。 乾道二年十二月十八日番陽洪邁景盧叙[11]。 【우리말 옮김】   《이견초지夷堅初志》가 완성되자 사대부들 가운데 어떤 이들이 이것을 전하였다.…

명말 새로운 독자층의 형성 2

앤 E. 매클라렌(Ann E. MacLaren) 독자의 구성 수많은 유명한 백화체 소설과 희곡은 먼저 필사본의 형태로 애호가들의…

와호장룡의 책읽기 8 『유세명언 3』

풍몽룡 저, 김진곤 역, 《유세명언 3》, 민음사, 2020. 12. 30 《유세명언》 1~3권에 수록된 40편의 이야기는 각각…

명말 새로운 독자층의 형성 1

앤 E. 매클라렌(Ann E. MacLaren) 16세기 중엽에 이르게 되면 백화본 텍스트의 작자와 출판업자들은 그들의 독자층이 더…

중국고대소설 서발문中國古代小說序跋文《류설 類說》서序

《류설 類說》서序 쩡짜오曾慥[1] 【原文】 小道可觀,聖人之訓也。余喬寓銀峰[2],居多暇日,因集百家之說,采摭事實,編纂成書,分五十卷,名日《類說》。可以資治體,助名敎,供談笑,廣見聞,如嗜常珍[3],不廢異饌[4],下筋之處[5],水陸具陳矣。覽者其詳擇焉。 紹興六年四月望日溫陵曾慥引[6]。 【우리말 옮김】   사소한 이야기라 할지라도 거기에는 반드시 볼 만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