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homepage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 – 난양소하록灤陽消夏錄 2-7

16 동문각(董文恪)공이 일찍이 급제하지 않았을 때 빈 저택에서 살게 되었는데, 어떤 사람이 그 집에 늘 괴이한…

일자일언一字一言-39-興

우리말로는 약하거나 희미하던 것이 성(盛)하게 되거나 위로 솟아오르다 등의 뜻으로 해석되는 興은 몇 개의 글자 요소가…

염문한자해설 003 – 여인의 모습

168 혜일공惠逸公 옥주호玉柱壺

이 차호는 주홍니朱紅泥으로 만들어져 태토의 질감이 완전히 붉은데 맑고 경쾌한 소리를 낸다. 여덟 잔 용량의 물을…

일자일언一字一言-38-朝

우리말로 아침을 뜻하는 한자어인 朝(아침 조)는 세 개의 구성요소가 모여서 만들어진 會意字이다. 국어사전에서 아침이란 어휘는, ‘날이…

염문한자해설 002 – 너무나 큰 것

염문한자해설 001 – 바로서기

【중콘】[중국어 문법] 많이 쓰는 결과보어 

167 혜일공惠逸公 중방식호仲芳式壺

이 차호는 명대 이중방李仲芳의 스타일을 본떠 만들어졌다. 바닥에는 “신묘년 음력 11월 일공辛卯仲冬日逸公”라는 일곱 자의 명문이 새겨져…

중국고대소설예술기법 38 수미조응법首尾照應法

수미조응법首尾照應法 【정의】 한 편의 소설 작품은 수미가 서로 조응을 해야 주제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고, 구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