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國民家紀行 – 01 베이징 사합원


베이징 사합원 – 가장 중국다운 그들의 집

중국의 전통적인 집 가운데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사합원四合院이다. 사합원은 베이징을 비롯한 화북지방 전통 가옥의 대표적인 배치방식인데다 베이징이 최근 1000년 동안 중국의 수도였던 만큼 이 글을 베이징 사합원에서 시작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사합원은 네四 채의 건물이 모여서合 가운데 마당院을 중심으로 이루어진ㅁ자 집이다. ㅁ자 형태는 아주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섬서성 치산현 펑추촌에서 발견된 건축 유구는 이러한 배치방식이 이미 3000년 전에도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02

한자에도 중국 집의 역사가 담겨 있다. 궁宮은 진시황 이전에는 일반적인 집을 의미했는데, 갑골문으로는 옆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합원과 유사하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사합원은 오른쪽의 그림과 같다. 사합원 전체로 보면 좌북조남坐北朝南이라 하여 북쪽에 앉아 남쪽을 향한다. 겨울추위가 심하기 때문에 태양을 향해 남으로 문을 내는 구조다.

03

집의 평면은 직사각형, 곧 장방형이다. 반듯하게 각이 잡혀 위계질서가 명료한 느낌을준다. 그림에서 정방과 정원은 집의 중심이고, 동서 이방에는 주인장 내외가,동서 상방에는 주인장의 첩이나 후손들이, 도좌방倒座房에는 하인들이 거주한다. 장방형의 대지를 두고 천원지방天圓地方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천원지방이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라는 고대 중국인의 공간 관념이다.

사합원의 평면도를 보면 동서로 대칭이 되는 남북 방향의 중심선을 그을수 있는데, 이것을 중축선이라 한다. 중축선은 개별 가옥에서도 적용되고, 궁궐은 물론 도시 공간배치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베이징은 중축선을 기준으로 해서 설계된 계획도시로서 자금성의 중축선이 바로 베이징의 중축선과 일치한다.

개개의 사합원은 표준화된 모듈과 같아 동서남북으로 반복하기만 하면 골목과 마을이 만들어지고 도시가 된다. 이런 구조는 베이징 지도에서 한눈에확인할 수 있다. 다음 쪽에 보이는 지도는 청나라 건륭제 시절에 제작된 <건륭경성전도>의 일부로서 자금성 북쪽의 고루와 스차하이什刹海 부근이다. 왼쪽 아래의 검은 것은 첸하이前海라는 호수이고, 왼쪽 중간에 끝이 조금만 보이는 호수는 허우하이后海, 두 개의 호수 사이를 건너는 다리는 은정교銀錠橋다. 《열하일기》를 쓴 박지원도 베이징에 관한 소감을 ‘정정방방正正方方’이란말로 아주 간결하게 표현했다.

04

사합원 안으로 들어가 보자. 북쪽에 앉은 정방正房이 중심이다. 정방 좌우의 작은 방은 귀가 붙어 있는 모양에 빗대어 귀방 또는 이방耳房이라 부른다. 좌우의 두 채는 곁채 또는 곁간으로 상방廂房이라 한다. 남쪽에는 정당正堂과 마주 보고 앉은 도좌방倒坐房이 있다. 대문은 남쪽으로 내지만 동쪽으로 치우쳐 있다. 풍수지리에서 길상의 방향에 해당한다. 집주인의 신분이 낮아 문을동쪽으로 내는 경우도 있다.

대문에는 도좌방 깊이만큼의 문도門道가 생기게 된다. 문도를 들어서 마주보는 동상방의 벽면은 영벽影壁 또는 조벽照壁이다. 귀신이 들어서면 영벽에 비친 자기 그림자를 보고 스스로 놀라서 돌아 나가게 한다는 민간 속설이 담겨있다. 실제 기능은 문밖에서 집 안을 들여다보는 것을 차단해주는 것이다.

t01

가운데 마당은 집의 중심이다. 꽃과 나무를 심거나 어항을 놓기도 한다. 방마다 용도가 정해져 있다. 정방은 주인이 손님을 맞는 곳이고, 이방은 주인부부의 침실이다. 서이방은 남자가 사용하는 서재 겸 침실이고, 동이방은 여자가 사용하는데 차를 끓이는 차로茶爐가 놓이기도 한다. 서쪽의 상방은 자녀가 사는 방으로, 아들 부부나 딸들이 거처하거나 주인장의 첩이 기거하기도 한다.

동쪽에 있는 상방은 주방과 식당이 들어가기도 한다. 도좌방은 일반적으로 하인의 방과 창고로 사용되는데, 가족 구성에 따라서는 아들이 도좌방으로 가기도 한다. 그리고 서남쪽 모서리에는 화장실이 있다.

창문은 전부 마당을 향한다. 가운데 마당으로 들어온 햇빛이 각 방으로 잘 반사되는 구조다. 집 밖으로는 창문을 내지 않는데 겨울의 북서풍 때문이다. 잦은 전란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관념도 작용한 것 같다. 이런 구조 탓에 ‘중국인은 밖으로는 폐쇄적이고 자기들끼리만 열려있다’고 평하기도 하지만, 사합원의 구조는 중국인들의 기질 때문이 아니라 화북지방의 기후조건에 따른 것이다.

06

남쪽의 도좌방은 집의 바깥 방향으로 창을 내는데, 이것도 남쪽의 태양광을 잘 받아들이기 위한 배려다. 사합원은 주로 흙으로 구운 벽돌, 즉 전塼, 磚으로 짓는다. 시골에 가면 흙벽돌로 지은 것도 많다. 벽에는 청회색 칠이 보통이다. 지금도 베이징 후퉁胡同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사합원은 원형에서부터 단계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확장의 첫 단계는 수화문垂花門을 설치하는 것이다.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문과 내원 사이에 수화문을 설치해서 전원을 두어 외부 시선을 완전히 차단시킨다. 내원까지는 두 개의 문을 들어서야 하기에 이진二進 사합원이라 한다. 수화문은 장식성이아주 강하기 때문에 이 정도의 사합원이라면 신분이 낮지 않은 편이다.

그다음 자손이 늘어나거나 하인들을 새로 들이는 등 사합원의 식구가 늘어나면 더 많은 방이 필요해진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방 뒤에 후원과 후조방後照房을 추가한다. 후원까지는 문을 세 번 통과하기 때문에 삼진 사합원이 된다. 후조방은 대개 딸을 비롯한 여성들이 거처한다. 미혼 여자들은 이후원과 내원을 거의 벗어나지 못하고 산다. 용변조차 야호夜壺라고 하는 요강을 사용하고, 하인이 매일 아침 화장실에 가져다 버린다. 여성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가부장적 사회제도가 그대로 드러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합원을 계속 확장할 수 있다. 집주인의 신분이나 재력에 따라 그것이 가능한데, 칠진까지 있다. 베이징 스차하이 근처에 일반인에게도 개방된 공왕부恭王府가 그런 사례다. 사합원은 남북뿐 아니라 동서 방향으로도 확장한다. 남에서 북으로 들어가는 것을 진進이라 하고, 동서로 넓히는 것을 과跨라 한다.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동상방의 동쪽에 과원跨院을 세우는 것이다. 과원은 분가한 자녀 부부나 하인들이 살기도 하고, 주방이 들어서기도 한다.

사합원이 최대로 커지면 어떻게 될까? 바로 자금성이다. 거대한 사합원 안에 작은 사합원들이 반복되고, 위계질서가 정연한 구조다.

사합원은 우리의 한옥과는 다르다. 사합원은 하부의 기단이 한옥에 비해낮다. 우리나라는 여름에 무덥고 겨울에 추운 탓에 남방식 마루와 북방식 아궁이가 함께 설치된 것이 특색이다. 한옥은 땅의 습기를 차단하고, 구들을 설치하기 위해 높은 기단 위에 집을 짓는다. 그러나 베이징의 여름은 뜨겁기는 해도 습기가 낮기 때문에 굳이 기단을 높일 필요가 없었다.

한옥과 사합원은 입식문화와 좌식문화의 차이도 있다. 북방에서 발달한 입식문화는 거란의 요나라에 의해 중원에 전파되었고, 지금은 입식문화가 대부분이다. 우리나라는 고려시대까지 입식이었지만 조선시대에 좌식문화로 바뀌어가면서 한옥 역시 좌식문화에 맞춰 변해왔다. 그래서 한옥의 방바닥은 사합원의 밑바닥보다 높지만, 방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는 사합원이 더 높은 것이다.

07

한옥의 사랑방은 길을 향해 모든 것을 다 열어젖힌다. 대문을 거치지 않고바로 길로 나설 수도 있고, 지나가던 사람이 그저 사랑방의 툇마루에 걸터앉기만 해도 주인 남자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구조다. 사합원에 비해 한옥이 개방적이다.

사합원은 남자 주인이 마당 안쪽의 정방과 서이방을 사용하지만, 한옥에서는 안방을 주인 여자에게 내주고 남자 주인은 사랑방에 기거하는 것도 크게 다른 문화다. 가부장적이란 것은 같지만, 가정 안에서 여자의 실권이 어디에 있는지 미묘한 차이를 보여주는 것 같다. 우리말에서도 안주인·바깥주인이라고 하는데, 이를 한옥의 구조에 적용해도 재미있다. 안방과 부엌, 안마당과 창고는 안주인의 소관이고, 사랑방에서 바깥을 향해 대표권을 행사하는것은 바깥주인의 일이라는 것이다.

사합원은 각 방의 외벽이 담장인데, 한옥에서는 각 채는 그대로 두고 그 바깥에 담장을 별도로 쌓는 것도 다른 점이다.

08

비슷한 것도 있다. 한옥이든 사합원이든 가운데 마당을 두고 있다. 마당은 가족이 모이는 공간이자 가사를 비롯한 휴식과 놀이, 혼인, 장례 등 여러 가지 활동이 이뤄지는 공간이다.

이 정도면 사합원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갖춘 셈이니 베이징에서 백성의 궁宮한 곳을 찾아 실제 사합원을 들여다보자.

역사의 도시 베이징에는 명사들이 살던 고거故居가 꽤 많은데, 중국 현대문학가 라오서老舍(1899∼1966)가 살던 집은 사합원의 문화와 역사를 음미할 만한 곳 가운데 하나다.

기념관으로 보기 전에 사합원으로 구경부터 해보자. 대문은 동쪽으로 향하고 있다. 신분이 낮은 사람의 사합원은 대문이 동쪽을 향하기도 한다. 라오서는 베이징 출생의 만주족으로, 오랜 외국 생활을 접고 귀국한 다음 1950년 이 집을 샀기 때문에 이 사합원의 대문과 라오서의 신분은 관계가 없다.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영벽이다. 영벽에는 보통 ‘복福’자와 같은 길상으로 장식하지만, 기념관인지라 라오서에 대한 간단한 소개문과 안내도가 걸려 있다. 대문 안에 현대적인 감각의 수화문(위 좌측 사진)이 방문객을 이끌어 내원으로 인도해준다.

수화문을 들어서면 북에서 남으로 앉은 정당(위 우측 사진)이 점잖게 여행객을 맞이한다. 정당의 전면에는 좌우 네 개의 기둥이 있으니 세 칸짜리다. 지붕은 우리 한옥의 맞배지붕과 유사한데, 이것을경산硬山이라고 부른다. 이와 유사한 지붕은 경복궁의 집옥재나 창덕궁 연경당의 선향재에서 찾아볼수 있다. 지붕면이 남북으로 경사지고, 동서 양끝은 절단된 형태라서 측면 벽이 전부 노출되어 있다.수화문을 들어서면 북에서 남으로 앉은 정당(위 우측 사진)이 점잖게 여행객을 맞이한다. 정당의 전면에는 좌우 네 개의 기둥이 있으니 세 칸짜리다. 지붕은 우리 한옥의 맞배지붕과 유사한데, 이것을경산硬山이라고 부른다. 이와 유사한 지붕은 경복궁의 집옥재나 창덕궁 연경당의 선향재에서 찾아볼수 있다. 지붕면이 남북으로 경사지고, 동서 양끝은 절단된 형태라서 측면 벽이 전부 노출되어 있다.

09

내원 좌우 측에는 감나무가 두그루 있다. 사합원의 중축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게 심은 것이다. 라오서는 이 집에 단시소원丹柿小院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붉은감나무가 있는 작은 집이란 뜻이다.

정방은 주인이 손님을 맞이하는 공간인 동시에 조상이나 재신 등을 모시는 곳으로, 이 집에서 가장 중심이 된다. 라오서의 기념관으로 사용되는 탓에 정방의 실내 정중앙에 그의 사진이 걸려 있다.

10

이 사합원의 전체 평면도는 위 그림과 같다. 이 평면도에서 ①번부터 ⑥번까지만 잘라보면 도좌방이 없는 삼합원이다. ⑦번을 포함하면 단진 사합원이고 ⑧, ⑨, ⑩번까지 합쳐보면 이진 사합원이 된다. 이 그림에는 없지만 ③번라오서 부인의 화실 겸 침실을 통해 뒤쪽에도 방이 있다. 그것까지 묶어보면 삼진 사합원이 되는 셈이다.

처음에는 기본적인 사합원의 구조였겠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큰 집이 망하면 땅이든 방이든 조각내 팔기도 하고, 돈이 생기면 옆집의 방 한 칸이나 자투리땅을 사들여 증축하기도 하면서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는 것이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라오서 기념관을 찾았을까. 라오서는 20세기 전반 베이징의 사합원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그의 사실주의적인 문학작품에 담아냈고, 그의 생애 자체가 20세기 후반 사합원과 후퉁에서 벌어진 비극의 하나였기 때문이다.

20세기 베이징은 크게 세 단계 변화를 거친다. 1928년까지 청나라와 중화민국 북양군벌의 수도였던 제경帝京, 구경舊京 시기, 중화민국이 난징南京으로 천도하면서 이름조차 베이핑北平으로 격하된 베이핑 시기(1928∼1949), 1949년이후 신중국의 현대 베이징北京 시기다. 이 가운데 1920∼30년대 베이핑 시대를 라오베이징老北京이라고도 한다.

오랫동안 대륙의 수도였던 베이징은 ‘황제의 발치’에 사는 오만과 허세가 묘하게 배어 있었다. 그러나 권력과 금력이 빠져나간 베이핑 시대에는 오만함은누그러지고 서민적인 향기가 진해졌지만, 허무보다 짙은 그늘도 있었다.

서구 열강은 빈사상태의 중국을 물어뜯고 있었고, 청나라의 지배민족이자 베이징의 주류를 이루던 만주족은 몰락했다. 고관대작들이 살던 사합원은 대학으로 넘어갔고, 번화했던 회관들은 기숙사나 식당으로 연명해야 했다. 게다가 제국주의 일본이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키자 화북지방에는 끊임없는 전란이 이어졌다.

이런 시대적 환경 속에 형성된 베이징의 서민풍 문화를 경미문화京味文化라고 한다. 엘리트 문화가 아닌 베이징 토박이들의 문화였고, 사합원과 후퉁의 문화였다. 라오서는 바로 이런 경미문화를 잘 보여주는 중국의 현대 작가였던 것이다.

라오서에 대한 조관희 상명대학교 교수의 설명이다.

라오서는 베이징의 아들이다. 그는 평생 베이징에 대해 썼고, 외국 생활을 하다가 돌아온 곳도 베이징이었고, 베이징에서 그의 소설로 인해 생을 마감했다. 베이징은 라오서의 고향이자 소설 창작의 끝없는 원천이었다. 베이징 사람들의일상을 베이징 토박이말로 풀어낸 일련의 소설 작품들을 경미소설京味小說이라한다. 경미소설은 “베이징의 독특한 도시 경관과 베이징인 특유의 생활방식 등에 대한 묘사를 통해 그들의 문화적 심리 구조와 베이징 사회의 역사 발전 과정을 탐색”한 것을 가리킨다. 중국 현대문학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라오서는 경미소설의 대표적인 작가로 추앙받고 있다. (《소설로 읽는 중국사 2》, 돌베개)

라오서의 본명은 수칭춘舒庆春이다. 라오서老舍는 필명이다. 그는 베이징에서 출생했으나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가난한 환경 속에서 성장했다. 1916년베이징 사범학교를 나와 중학교 교사가 되었다가 런던대학에서 유학했다. 1934년 칭다오의 산둥山東대학 교수로 돌아와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1937년에 발표한 《낙타샹즈駱駝祥子》가 1945년 미국에서 《Rickshaw Boy》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라오서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중일전쟁 때에는 문예계 항적협회를 결성했고, 충칭에 머무는 동안 그의또 다른 대표작 《사세동당四世同堂》을 집필했다. 1947년 미국으로 건너갔다가1949년 귀국하여 마오쩌둥의 신중국 치하에서 문예계의 여러 요직을 거치면서 인민예술가라는 영예도 받았다. 그러나 1966년 문화혁명의 광풍 속에 그의 소설로 인해 반당분자로 비판을 받았고, 그 와중에 의문의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12년 뒤에 공식적으로 명예회복이 되었다.

그의 대표작은 《낙타샹즈》인데, 낙타는 주인공 샹즈의 별명이다. 이 작품은 베이징에 사는 가난한 인력거꾼의 비참한 생활을 그린 것으로 하층 서민의 애환과 어두운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묘사를 통해 비판적 리얼리즘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시 베이징의 후퉁과 사합원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한 비극이었지만, 이 소설로 인해 그의 인생도 비극으로 몰렸다.

이 작품은 1937년에 연재(〈우주풍宇宙風〉)를 통해 발표했는데 당시 연재를 마치고 쓴 글에서 그는 스스로 자신의 작품에 대한 만족감을 스스럼없이 드러냈다. 수정할 여지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중일전쟁과 신중국의 성립, 그리고 문화혁명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격변 속에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심각하게 받게 되었다. 그가 스스로 원했는지,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 그랬는지는 모르지만, 그의 소설 《낙타샹즈》는 최초의 발표 당시와는 달리 크게 수정되어 출간되었다. 라오서는 1955년에 나온 이 소설의 수정본에서 자아비판 비슷한 후기를 덧붙였다.

이 책은 이미 상당수의 중판을 거듭했다. 이번에 나온 새 판에서는 정결하지 못한 말들과 지리한 서술들을 모두 빼버렸다. 이것은 내가 19년 전 옛날에 쓴 옛작품이다. 이 책 속에서 나는 비록 고통에 헤매는 인민들을 동정하고 그들의 좋은 품성을 사랑하기는 했지만, 그들이 삶을 헤쳐나갈 수 있는 출로를 터주지 않았다. 그들은 고통스럽게 살아갔으며 억울하게 죽어갔을 뿐이다.

이것은 모두 내가 당시 사회의 캄캄한 절망의 단면만을 보았을 뿐, 혁명의 광명을 보지 못하고 혁명의 진리를 깨닫지 못한 데서 온 것이었다. 당시의 도서 검열이 하도 심해서 나로 하여금 조심할 수밖에 없게 만들었고, 인간이 반란을 일으켜야 한다는 이야기를 철저하게 할 수 없었다.

책이 나오고 얼마 안 되어 노동 인민들은 나에게 ‘이 책대로라면 우리는 너무 괴롭다. 너무 희망이 없다’는 반응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반응은 나에게 심한 죄책감을 일으켰다. (라오서, 《낙타샹즈》 후기, 1955)

이런 흐름 속에서 당초의 비극적 결말은 비극이 아닌 것으로 수정되고, 소설 속에서 기회주의자였던 공산주의자 역시 기회주의가 아닌 것으로 수정되었다. 그는 신중국 성립 이후에 문예단체의 고위 간부였지만, 한쪽에서는 교조주의적인 비평가들에게 압박을 받았던 것이다. 교조적 비평가들은 라오서의 비극을 혁명적 주체의식이 없는 수동성, 사회악에 대한 개혁 의지가 없는체념으로 몰아세웠고, 라오서는 결국 자아비판의 대상이 된 것이다.

11

1966년 베이징에서부터 문화혁명이 일어나자 라오서는 그 광풍을 피하지못하고 어린 홍위병들에게 심한 모욕을 당했다. 그해 8월 24일 67세의 라오서는 가족들에게 외출한다며 집을 나섰다. 다음 날 아침 라오서의 부인에게 베이징사범대학 남쪽에 있던 타이핑호太平湖(위 사진)에 가보라는 전화가 왔다. 가족들은 그곳에서 라오서의 시신을 발견했다.

익사라고 했으나 유체에는 물이 묻어 있지 않았으며, 복부에도 물이 고여있지 않았다고 한다. 20세기 중국 현대문학사에서 가장 빛나는 별 가운데 하나인 라오서는 이렇게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했던 것이다.

나중에 그는 복권되었다. 1978년이니 그가 죽은 지 12년이 지난 다음이다. 1994년, 그 집에 그대로 살던 라오서의 가족들은 그들이 살던 집을 라오서기념관으로 만들기를 정부에 제안했다.

20세기 전반 라오베이징의 고통과 비극이 그의 소설이었고, 문화혁명으로인한 비극적 죽음이 한데 뒤섞인 사합원이 바로 라오서 기념관인 것이다.

집 안의 방과 마당, 집과 집 사이의 골목에서는 평범한 사람들의 애틋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었으나, 높은 자들은 광장에 모인 집단에게 광기를 불붙였고, 광풍은 베이징과 중국 전역을 삼켜버렸다. 광풍은 좁은 골목, 누추한집의 평범한 사람들까지 모두 끄집어내 광장으로 끌고 갔다. 광장에 모인 사람들은 손가락질하면서 누군가를 제단에 올렸고, 다중의 폭력과 핍박으로 무자비하게 파괴했다. 그의 소설은 원래 비극으로 끝났고, 그의 인생도 비극으로 끝났다.

남의 일만은 아니다. 손가락질만으로 사람을 죽이는 이 끔찍한 폭력…….물론 그런 비극에도 그 사합원에서는 아이가 또 태어나 과거를 조금씩 잊게했고, 그 골목에서는 오늘의 온화한 덕담 속에서 내일의 작은 행복을 가슴팍으로 살살 끌어당기고 있다.

필자는 그런 후퉁을 걸어 어느 사합원에 들어가 그때 일어났던 일들을 들춰보며 그 일들이 남긴 향기와 악취를 함께 더듬어보는 것이다.

윤태옥(중국여행객)

t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