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일 한시-장구령張九齡 달을 보고 먼 그대를 그리며望月懷遠

달을 보고 먼 그대를 그리며望月懷遠/장구령張九齡

海上生明月 바닷가에 밝은 달 떠오르니
天涯共此時 먼 곳에서 지금 함께 보리라
情人怨遙夜 정인은 긴 밤을 원망하면서
竟夕起相思 밤새 그리움에 잠 못 들겠지
滅燭憐光滿 촛불 끄니 보름달이 예쁘고
披衣覺露滋 옷 입고 배회해 이슬에 젖네
不堪盈手贈 달빛 손에 담아 줄 수 없으니
還寢夢佳期 꿈에서나 만나려 도로 잠드네

장구령(張九齡, 678~740)은 당 현종 때의 재상으로 만년에 같이 재상을 한 이임보(李林甫)와의 갈등으로 형주(荊州)로 좌천되었다. 이보다 몇 년 전에는 계림 자사(桂林刺史)와 영남도 관찰사(嶺南道按察)를 지내기도 했다. 이 시가 언제 지어졌는지 알 수 없으나 임금을 떠나 지방에 가 있던 이런 시기에 지은 시로 보인다. 이 시가 남녀의 사랑을 노래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임금에 대한 충성을 표현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3구의 정인(情人)을 작가 자신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 상당히 어색하다. 우선 요즘 말로 연인이라는 의미의 정인을 자신에게 쓰는 것이 이상할 뿐 아니라, 첫 구의 함께 달을 본다는 의미를 살리자면 여기서 연인의 생각이나 행동을 서술해야 시의 균형이 맞을 것이다.

기상사(起相思)는 ‘일어나 그리워한다.’가 아니라 ‘그리운 마음을 일으킨다.’는 뜻이다. 이런 뜻으로 확정할 수 있는 것은 대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연인이 자신을 생각하느라 잠을 제대로 못 잘 것을 생각하니 견딜 수 없다. 그래서 촛불을 끄고 옷을 입고 나와 달을 보노라니 절로 옷이 이슬에 젖는다. 이쯤 되면 지독한 사랑이라 할 만하다. 자신이 상대방을 사랑하게 되면 상대방도 자신을 사랑할 것이라는 생각에 휩싸이게 된다.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자신을 그리워하느라 잠을 못 이룬다고 생각하면 절로 이런 행동을 하게 될 것이다.

달빛을 손에 담아 보내려 하는 것은 자신의 마음을 전달하려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천애 멀리 떨어진 정인에게 어떻게 전할 수 있겠는가? 지금은 다시 만날 기약조차 없다. 그래서 시인은 만날 날을 기약하기 위해 꿈이라도 꾸어 보려고 다시 잠을 청한다.

이 시가 사랑의 행동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있고 통상의 감정보다 매우 애절한 형식을 취한 것이 오히려 이 시가 단순한 사랑 시가 아니라 임금에 대한 충성을 담고 있는 시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마치 정철의 <사미인곡>과 같은 구성이다.

이 시의 첫 두 구는 제목을 풀이한 것이자 나머지 4수를 이끄는 역할을 한다. 나머지 구의 의미를 담고 있어 함축이 깊을 뿐만 아니라 선택한 언어가 해상, 천애 등에서 풍기는 호방한 기운이 있어 고금에 회자되는 구절이다.

清 余集, <梅下赏月图轴>

365일 한시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