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애승람瀛涯勝覽-벵갈 왕국榜葛剌國

벵갈 왕국榜葛剌國

수마트라 왕국에서 출항하여 풀라우웨(帽山)와 니코바(翠藍嶼)를 거쳐서 서북쪽으로 가면서 순풍을 만나 스무 날을 항해하면 먼저 치타공(浙地港, Chittagong)에 도착하는데, 이곳에 배를 정박하고 작은 배를 이용하여 항구로 들어간다. 그렇게 500리 남짓 가면 소나르가온(鎖納兒港, Sonārgāon)에 도착하는데, 거기에서 뭍에 올라 서남쪽으로 35개의 驛站을 지나면 그 나라에 도착한다. 성곽이 있고 왕궁과 크고 작은 관서(官署)들이 모두 성 안에 있다.

自蘇門答剌國開船, 取帽山幷翠藍嶼投西北上, 好風行二十日, 先到浙地港, 泊船, 用小船入港. 五百餘里到地名鎖納兒港, 登岸, 西南行三十五站, 到其國. 有城郭, 其王府幷一應大小衙門皆在城內.

이 나라는 영토가 광활하여 물산도 풍부하고 사람들도 풍족한데,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회교도이다. 민간 풍속도 순박하고 착하며, 부자들 가운데는 배를 건조하여 여러 번국으로 가서 사업을 하는 이들이 상당히 많고, 외국에 나가 일하는 고용 노동자들도 많다. 사람들의 얼굴과 몸체는 모두 검지만 간혹 흰 사람도 한두 명쯤 있다. 남자는 모두 머리를 깎고 하얀 천으로 감싸며, 머리에 쓴 것 아래로 옷깃이 둥근 긴 웃옷을 입고 아래는 갖가지 색깔의 넓은 수건을 두르며, 목이 짧은 가죽신을 신는다. 국왕과 우두머리의 목장은 모두 회교의 예법을 받들며, 의관이 대단히 단정하고 아름답다.

其國地方廣闊, 物穰人稠, 舉國皆是回回人. 民俗淳善, 富家造船往諸番國經營者頗多, 出外傭役者亦多. 人之容體皆黑, 間有一白者. 男子皆剃髮, 以白布纏之, 身服從頭套下圓領長衣, 下圍各色闊手巾, 足穿淺面皮鞋. 其國王幷頭目之服, 俱奉回回敎禮, 冠衣甚整麗.

국어는 대부분 벵갈어(榜葛里, Bengali)를 따라서 자체적으로 하나의 언어를 이루었는데, 페르시아어(巴兒西話, Farsi)를 쓰는 이들도 있다.

국왕은 은으로 탕카(倘伽, tanka)라는 화폐 주조했는데 하나의 무게는 중국 관청 저울로 세 전(錢)이고 직경은 관청 치수로 1치 2푼이다. 아랫면에는 무늬가 있으며 모든 거래에는 이 돈으로 가격을 계산하고 거스름돈으로도 쓰인다. 이 지역에서 카우리(考嚟, kauri)라고 부르는 무늬개오지 조가비[海𧴩]도 개수를 따져서 교역에 사용된다. 민간 풍속에서 성인식과 상례, 혼례는 모두 회교에서 정한 예법에 따른다.

國語皆從榜葛里, 自成一家言語. 說巴兒西話者亦有之. 國王以銀鑄錢, 名倘伽, 每箇重官秤三錢, 徑官寸一寸二分, 底面有紋, 一應買賣皆以此錢論價零用. 海𧴩, 番名考黎, 亦論箇數交易. 民俗冠喪祭婚姻之禮, 皆依回回敎門禮制.

사계절 기후는 늘 여름처럼 무덥다. 쌀과 곡식은 이모작을 하는데 쌀알은 가늘고 길어서 세홍미(細紅米)가 많다. 조와 보리, 참깨, 각종 콩, 기장, 생강, 겨자, 파, 마늘, 오이, 가지 등의 채소가 모두 있다. 과일로는 바나나가 있다. 술은 서너 종류가 있는데 야자주와 미주(米酒), 수주(樹酒), 교장주(茭蔁酒)가 그것이다. 갖가지 제조법이 있지만 대부분 소주(燒酒)이다. 시장에서는 차를 팔지 않고, 인가에서는 손님을 접대할 때 빈랑을 내놓는다. 저자에는 목욕탕과 술집, 밥집, 달달한 간식거리 등을 파는 가게들이 모두 있다. 낙타와 말, 나귀, 노새, 물소, 황소, 산양, 면양, 거위, 오리, 닭, 돼지, 개, 고양이 등의 가축이 모두 있다. 과일로는 바라밀과 타마린드(酸子, tamarind), 석류, 사탕수수 등이 있다. 달달한 간식거리로는 사탕과 백당(白糖), 백설탕, 당과(糖果), 설탕에 잰 과일[蜜煎], 설탕에 잰 생강[蜜薑] 등이 있다.

四時氣候, 常熱如夏. 稻穀一年二熟, 米粒細長, 多有細紅米. 粟麥芝麻各色荳黍薑芥蔥蒜瓜茄蔬菜皆有. 果有芭蕉子. 酒有三四等, 椰子酒米酒樹酒茭蔁酒. 各色法制, 多有燒酒. 市賣無茶, 人家以檳榔待人. 街市一應鋪店混堂酒飯甜食等肆都有. 駝馬驢騾水牛黃牛山羊棉羊鵝鴨雞猪犬猫等畜皆有. 果則有波羅蜜酸子石榴甘蔗等類. 其甛食則有沙糖白糖糖霜糖果蜜煎蜜薑之類.

토산품으로는 5, 6가지 섬세한 천이 있다. 이곳에서 비람포(卑泊, byrampaut)라고 불리는 필포(蓽布)는 너비가 3자 남짓하고 길이는 5길 6, 7자이다. 이 천은 분홍색 편지지처럼 고르고 얇다. 이곳에서 친츠(滿者提, chintz)라고 부르는 강흑포(薑黑布)는 너비가 4자 정도 되고 길이는 5길 남짓이다. 이 천은 촘촘하고 튼실하다. 이곳에서 사나바프(沙納巴付, Šānahbāf)라고 불리는 천은 너비가 5자에 길이는 3길인데 마치 생평라(生平羅)처럼 생겼으니, 이것이 바로 포라(布羅)이다. 이곳에서 힌보킨다리(忻白勤搭黎, hinbokindari)라고 부르는 천은 너비가 3자이고 길이는 6길인데 천의 눈이 아주 작고 균일하니, 이것이 바로 포사(布紗)이다. (이곳 사람들은) 모두 이 천으로 머리를 감싼다. 여기서 차우타르(沙榻兒, cāwtar)라고 부르는 천은 너비가 2자 5, 6치이고 길이나 4길 남짓인데 질 좋은 삼사포(三梭布)와 비슷하다. 또 마말(驀黑驀勒, mahmal)이라고 하는 천은 너비가 4자이고 길이는 2길 남짓인데 뒷면에는 온통 털실의 끝이 돋아 있고 두께는 4, 5푼이나 되니, 이것이 바로 투라(兜羅, tūlā) 면(綿)이다.

土產五六樣細布. 一樣蓽布, 番名卑泊, 闊三尺餘, 長五丈六七尺, 此布勻細如粉箋一般. 一樣薑黑布, 番名滿者提, 闊四尺許, 長五丈餘, 此布緊密壯實. 一樣番名沙納巴付, 闊五尺, 長三丈, 便如生平羅樣, 卽布羅也. 一樣番名忻白勤搭黎, 闊三尺, 長六丈, 布眼稀勻, 卽布紗也, 皆用此布纏頭. 一樣番名沙榻兒, 闊二尺五六寸, 長四丈餘, 如好三梭布一般. 有一樣番名驀黑驀勒, 闊四尺, 長二丈餘, 背面皆起絨頭, 厚四五分, 卽兜羅綿也.

뽕나무와 누에고치가 모두 있지만 그저 실을 뽑아 수건과 명주에 박아 넣을 줄만 알 뿐, 면(綿)을 만들 줄은 모른다. 칠기로 만든 그릇과 쟁반, 빈철(鑌鐵)로 만든 창칼 등의 기물을 파는 이들도 모두 있다. 역시 나무껍질로 만든 하얀 종이가 있는데 사슴 가죽처럼 매끄럽게 광택이 나고 부드럽다.

桑柘蠶繭皆有, 止會作綫繰絲嵌手巾幷絹, 不曉成綿. 漆器盤碗鑌鐵槍刀等器皆有賣者. 一樣白紙, 亦是樹皮所造, 光滑細膩如鹿皮一般.

관직의 품계와 아문(衙門), 인신(印信)과 행이(行移)가 모두 있다. 군대 또한 관장하며 군량을 공급하는 관직이 있는데, 군대를 관장하는 우두머리를 이곳에서는 시파살라(吧斯剌兒, sipāh-sālār)라고 부른다.

國法有笞杖徒流等刑, 官品衙門印信行移皆有. 軍亦有官管給量餉, 管軍頭目名吧斯剌兒.

의술과 점복, 음양을 비롯한 온갖 기예를 가진 이들이 모두 있다. 그들이 기술을 실행할 때에는 검은 선이 그려진 흰 천에 꽃무늬가 들어간 적삼을 입고 아래에는 염색한 실로 엮은 수건을 두른 채, 갖가지 색깔의 초자(硝子)로 만든 구슬 사이사이에 산호 구슬과 호박 구슬을 꿰어 영락(纓絡)을 만들어서 어깨와 목에 걸친다. 또 울긋불긋한 초자를 태워 만든 팔찌를 두 팔에 찬다. 어느 집에서 잔치가 열리면 이들도 찾아가 풍악을 울리고 이 지역의 노래를 부르면서 짝을 맞추어 춤을 추는데, 역시 상황에 맞는 적절한 동작과 자세[解數]가 있다. 이 지역에서 건샤오수루나(根肖速魯奈)라고 부르는 이들은 악사(樂士)인데 매일 아침 5경(更) 무렵에 우두머리나 부호(富戶)의 집 앞에 찾아가 각기 한 명씩 수르나(鎖㖠, surna)를 불고, 작은 북을 치고, 큰 북을 치는데 처음 시작할 때에는 느리지만 나름대로 곡조와 박자가 갖춰져 있고, 나중에 점차 빨라졌다가 그친다. 그리고 또 다른 집에 찾아가서 앞서와 마찬가지로 악기를 연주하고 떠난다. 밥 때가 되면 여전히 각 집으로 찾아가는데 사람들은 그들에게 술이나 밥, 돈, 물건 등을 준다.

醫卜陰陽百工技藝皆有. 其行術身穿挑黑線白布花衫, 下圍色絲手巾, 以各色硝子珠間以珊瑚、琥珀珠穿成纓絡, 佩於肩項, 又以靑紅硝子燒成鐲, 帶於兩臂. 人家宴飲, 此輩亦來動樂, 口唱番歌對舞, 亦有解數. 有一等人名根肖速魯奈, 卽樂工也. 每日五更時分, 到頭目或富家門首, 一人吹鎖㖠, 一人擊小皷, 一人打大皷, 初起則慢, 自有調拍, 後漸緊促而息. 又至一家, 如前吹擊而去. 至飯時仍到各家, 或與酒飯或與錢物.

잡다한 기예를 보여주는 것은 온갖 종류가 다 있지만 그다지 기이하지는 않다. 다만 한 가지가 특이하다. 한 사람이 그 아내와 함께 쇠사슬로 커다란 호랑이 한 마리의 목에 매고 저자에서 끌고 가다가, 인가에 이르러 재주를 보여줄 때면 쇠사슬을 풀고 호랑이에게 땅에 앉아 있으라고 명령한다. 이어서 그 사람이 맨몸으로 혼자 호랑이에게 달려들어 주먹을 휘두르며 호랑이를 치거나 발길질을 하려 한다. 그러면 호랑이는 화가 나서 위협하며 마치 사람을 칠 듯이 포효하고, 그 사람과 호랑이가 몇 번을 치고받는다. 그게 끝나면 또 한 팔을 호랑이 입에 집어넣어 목구멍까지 닿게 하는데, 호랑이는 감히 물지 못한다. 그 사람이 다시 호랑이 목에 쇠사슬을 채우면 호랑이가 땅바닥에 엎드려 먹을 것을 달라고 한다. 그러면 그 집에서는 호랑이에게 고기를 주고, 또 그 사람에게는 돈이나 재물을 주어 보낸다.

撮弄把戲, 諸色皆有, 不甚奇異. 止有一樣, 一人同其妻以鐵索拴一大虎, 在街市牽拽而行, 至人家演弄, 卽解其鐵索, 令虎坐於地. 其人赤體單稍, 對虎跳躍, 拽拳將虎踢打, 其虎性發作威, 咆哮勢若撲人, 其人與虎對跌數交畢. 又以一臂伸入虎口, 直至其喉, 虎不敢咬. 其人仍鎖虎頸, 虎伏於地討食, 其家則與肉啖之, 又與其人物錢而去.

달력은 역시 열두 달을 일 년으로 하지만 윤달은 없다. 절기가 언제 오는지는 추산(推算)한다. 이곳 국왕도 사람을 파견하여 배를 타고 각 번국에서 가서 거래하여 토사품과 진주, 보석 등을 마련해 중국에 공물을 바쳤다.

日月之定, 亦以十二箇月爲一年, 無閏月. 節氣早晩臨期推. 國王亦差人駕船往各番國買賣, 取辦方物珍珠寶石, 進貢中國.

Baro Sona Mosque, 사진 Uttara Gangopadhy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