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계절의 노래-[宋] 범성대范成大 찬 비寒雨

찬 비(寒雨)/ [宋] 범성대(范成大)

무슨 일로 겨울날
비가 창을 때리는가

밤에는 두둑두둑
새벽에는 주룩주룩

만약에 하늘 가득
흰 눈으로 변한다면

외로운 뜸배 타고
저녁 강에 낚시 하리
何事冬來雨打窗, 夜聲滴滴曉聲淙. 若爲化作漫天雪, 徑上孤篷釣晚江.


—이 시가 당나라 유종원(柳宗元)의 「강설(江雪)」을 모티브로 삼고 있음은 마지막 구절을 보면 알 수 있다. 유종원의 「강설」 마지막 구절이 바로 “혼자서 추운 강의 눈을 낚는다(獨釣寒江雪)”이다. 대자연과 마주한 인간의 절대 고독을 극적으로 그려냈다. 추운 강의 낚시질은 조옹(釣翁)의 선택에 의한 의도적 행위이므로 주체적으로 고독과 마주선 인간의 경건함과 신성함마저 느껴진다. 이후 이 시의 ‘독조한강(獨釣寒江)’ 또는 ‘한강독조(寒江獨釣)’라는 이미지는 수묵화의 독립된 화제(畫題)로 정형화되어 수많은 명품으로 예술화되었다.

일본 도쿄 국립박물관에 소장된 송대 마원(馬遠)의 『한강독조도』와 명대 주단(朱端)의 『한강독조도』도 동일한 주제를 그린 명품이다. 마원의 그림에는 아예 도롱이와 삿갓도 갖추지 않은 늙은이가 일엽편주에 몸을 싣고 낚시에 집중하고 있다. 늙은이를 실은 낚싯배 외에는 모두 망망한 허공이다. 주단의 그림은 마원의 그림보다 사실적이다. 깎아지른 절벽 위에 흰 눈이 가득 덮인 소나무가 늘어져 있고, 그 소나무 끝에는 고드름이 강을 향해 매달려 있다. 그리고 고드름 아래에는 도롱이를 입고 삿갓 쓴 늙은이가 뜸배 끝에 앉아 추운 강에 낚싯대를 드리우고 있다. 일반인은 보통 비가 오거나 눈이 오면 낚시를 하다가도 집으로 돌아오기 마련이다. 그런데 하필 눈 오는 날 차가운 강으로 나가 고독 속에서 낚시하는 사람들은 무엇을 낚을까? 강태공처럼 천하를 낚을까? 아니면 엄자릉(嚴子陵)처럼 고절(高節)을 낚을까? 원말(元末) 명초(明初) 당숙(唐肅)은 “고기를 실은 게 아니라 시만 싣고 돌아온다(不載魚歸只載詩)”라 했다. 모두 나름대로 세속을 벗어난 정답을 제시했지만, 내가 보기엔 이들의 정답도 모두 세속 티끌에 얽매인 듯하다. 눈을 낚는 늙은이 앞에 천하니 고절이니 시 따위가 대관절 무슨 대수일까?

한시, 계절의 노래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