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횡거의 역설 서문張橫渠易說序, 代作][1]
장횡거(張橫渠)선생은 오랫동안 제자들에게 《역경》을 강론했다. 그러던 중 ‘두 정(程)선생’[二程][2]이 《역경》에 대해 논한 것을 보고, 제자들에게 “두 정선생은 《역경》의 도를 깊고 밝게 깨우치셨는데, 나는 그렇지 못하다”라고 말하더니, 강론하던 자리를 용감하게 폐하고 ‘그동안 고수해오던 자기의 견해를 바꾸어’ 두 정선생의 견해를 따랐다. 그는 이처럼 용감했다. 나는 선생이 그동안 고수해오던 자기의 견해를 한꺼번에 바꾼 이것이야말로 바로 《역경》과 통한다고 생각한다.
진대(晉代) 사람들은 《역경》에 대해 논할 경우 항상 세 마디로 개괄했다. ‘쉽고 간략하면서 천하의 이치를 얻는다’[易簡而天下之理得]라고 했다. 이 ‘쉽고 간략함’[易簡]이 《역경》의 첫번째 요지이다. 또한 ‘시대가 변해도 바뀌지 않는다’[不易乎世]라고 했다. 이 ‘바뀌지 않는 것’[不易]이 《역경》의 두번째 요지이다. 또한 ‘일정한 형태로 고정되지 않고 변화하며, 천지와 사방에 두루 통용되어, 전형적인 것이 없이 오직 변화에 따라서 이에 맞게 적응할 뿐이다’라고 했다. 이 ‘바뀌는 것’[變易]도 또한 《역경》의 세 번째 요지이다.[3]
지극히 간략하기 때문에 쉽고, 바뀌지 않기 때문에 깊고, 바뀌기 때문에 신묘하다. 비록 세 마디로 말했지만, 사실은 하나의 이치이다. 깊으면 신묘하지 않은 것이 없고, 신묘하면 바뀌지 않는 것이 없다. 선생이 빠르게 바뀌는 것이 마치 손바닥을 뒤짚듯 쉬우니, 어쩌면 그리 신묘한가! 그러므로 나는 선생의 이 점이 바로 《역경》과 통한다고 생각하여, 《역설》(易說)의 서문을 쓴다.(권3)
[1]. 장횡거는 송대 이학자 장재(張載, 1021~1086)를 말한다. 횡거(橫渠, 현재 陝西省 眉縣 소재)에서 학문을 강론하였다.
[2]. 송대(宋代) 성리학의 기틀을 마련한 정이천(程伊川)․정명도(程明道) 형제를 말한다.
[3]. 이간(易簡)․변역(變易)․불역(不易)은 삼역(三易)이라고 부른다. 역의 세 가지 기본 성격을 말하는 것으로 후한시대 정현(鄭玄)의 《역찬》(易贊)과 《역론》(易論)에 “이간이 첫 번째 의의이고, 변역은 두 번째 의의이고, 불역은 세 번째 의의이다”라는 구절이 보인다. 이 세 가지가 《역경》의 성격을 규정하는 세 틀이다. 본문에서 진대(晉代) 사람이 누구를 가리키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다. 다만 위나라 초기의 현학자 왕필(王弼)의 역학사상이 한 대의 상수역(象數易)을 반대하면서 이러한 세 가지 의의를 현학적으로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이 왕필의 역학사상을 동진(東晉) 때의 한강백(韓康伯)이 이어 받는다. 그도 왕필과 마찬가지로 왕필의 역학을 발전시켜 상수역을 반대하면서 《역경》을 무형의 이치로 해석하는 의리역(義理易)을 제기하였다. 아마도 왕필에서 한강백으로 이어지는 의리역의 해석틀을 이지가 지적하는 듯하다.
卷三 雜述 張橫渠易說序代作
橫渠先生與學者論《易》久矣,後見二程論《易》,乃謂其弟于曰:“二程深明《易》道,吾不如。”勇撤皋比,變易而從之,其勇也如此。吾謂先生即此是《易》矣。晉人論《易》,每括之以三言:曰易簡而天下之理得。是易簡,一《易》也。又曰不易乎世。是不易,一《易》也。又曰變動不居,周流六虛,不可為典要,惟變所適。是變易,又一《易》也。至簡故易,不易故深,變易故神。雖曰三言,其實一理。深則無有不神,神則無有不易矣。先生變易之速,易如反掌,何其神乎!故吾謂先生即此是《易》矣。作《易說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