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기행 04 동방의 피라미드, 서하왕릉

닝샤(寧夏)는 중국 대륙의 정중앙이라고 하는 간쑤성(甘肅省) 란저우(蘭州)를 기준으로 서북쪽에 위치한 비교적 작은 구역이다. 총면적이 6만6천4백㎢인데, 남북한 합친 면적이 약 22만1천㎢이니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내륙의 건조 지대에 위치한 닝샤는 사막으로 둘러싸인 일종의 분지인데, 이 지역의 젖줄인 황허가 가로지르는 비옥한 땅에 자리잡고 있어, 특이하게도 풍요로운 농업 지대를 이루어 ‘북쪽 변방의 강남(塞北江南)’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사막 한 가운데 있는 호수

지세는 남고북저를 이루고 있으며, 중앙부를 황허가 남서에서 북동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유역에 닝샤 평원을 이루고, 이 황허의 동쪽으로는 오르도스(河套) 고원이, 북쪽에는 허란산맥(賀蘭山脈)이, 남쪽에는 류판산(六盤山; 칭기즈 칸이 죽은 곳)이 있으며, 허란산맥 북쪽으로는 텡그리(騰格里; 몽골 말로 ‘하늘’이라는 뜻)와 마오우쑤(毛烏素), 우란부(烏蘭布) 등 3대 사막으로 둘러 쌓여 토지 사막화가 심각하다. 봄이면 날아오는 황사의 발원지가 바로 이곳 사막 지대라는 사실을 부기 해둔다.

성도는 인촨(銀川)으로 닝샤 평원의 중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황허, 서쪽으로는 허란산(賀蘭山)에 접해있다. 서북지방 교통의 요지이며, 닝샤자치구의 상업 중심지인 인촨은 1,300여 년의 역사를 가진 도시인데, 진한시대 때부터 닝샤 평원에서 관개(灌漑)를 통한 농경이 시작되어 문화가 발달하였다. 본래 이곳은 북방 유목민들이 거주하던 곳이었는데, 서기 8세기경 이슬람을 믿는 페르시아인이 왕래하기 시작했다. 또 원나라 때 대규모로 중앙아시아와 아랍, 페르시아의 무슬림 군사, 기술자, 상인들이 이곳 닝샤에 옮겨 살기 시작했다고 한다. 18세기 중엽엔 회족이 더 번성하기 시작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1958년에 닝샤회족자치구가 성립되었다.

역사적으로 닝샤는 여러 이민족들이 지배하던 곳이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가장 강력한 왕국을 세웠던 것이 서하(西夏)이다. 서하는 시대적으로 송대와 겹치는데, 당시 송, 요(遼)와 함께 정족지세(鼎足之勢)의 세력 균형을 이루었기에 후대 사람들은 이 시기를 두 번째 삼국시대라 부르기도 한다. 당시 서하는 독립된 왕국으로 자신들만의 언어와 문자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서하 문자는 한자를 본떠 만들었다고 하는데, 한자보다 획수가 더 많아 사실상 사용하기에는 많은 불편이 따랐을 것으로 짐작된다.

서하문자

한때 강성한 국세를 바탕으로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웠던 서하 왕국은 1,227년 몽골의 칭기즈 칸 대군에 의해 멸망되었다. 이때 서하 왕조의 서적들도 모두 불타버려 그들의 문화는 역사의 비밀로 남게 되었다.

귀면

위 사진은 서하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귀면(鬼面)인데, 일설에 의하면 전쟁신의 조상이라고도 한다. 닝샤 곳곳에서 이 귀면을 목걸이 등의 기념품으로 파는 것으로 보아 이것이 서하를 대표하는 하나의 상징물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서하박물관은 서하 왕릉 입구에 있는데, 그 규모나 소장품의 예술적 가치 등에서 다른 박물관에 뒤지지 않는다. 닝샤를 가는 사람들은 주의 깊게 둘러볼 일이다.

몽골의 침입으로 멸망한 서하 왕국은 오랫동안 사람들의 기억에 잊혀져 있다가 지난 세기 고고학적 발굴에 의해 새롭게 조명되었다. 곧 20세기 70년대 초 서하 왕릉 유적지가 우연히 발견된 이래 현재까지 약 30여 년 동안 중국의 고고학자들에 의해 여러 차례 조사 발굴 과정을 거쳐 서하 왕롱의 대략적인 분포와 구조가 밝혀졌다.

3호 능원의 복원 모형

서하왕릉은 약 50평방킬로미터나 되는 황량한 사막에 구축되었는데, 도합 9기의 황제 능원과 250여 기의 귀족들의 무덤들로 이루어져 있다. 서하왕릉은 중국에서 규모가 제일 크고 지면 유적이 완벽하게 보존된 왕릉의 하나로 베이징의 명 십삼릉의 규모와 맞먹는다. 9기의 왕릉은 모두 각기 독립된 건축군체이다. 왕릉은 북쪽에 앉아 남향하고 있으며 네모꼴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그 위세가 장엄하고 엄숙하고 웅위롭다.

9기의 왕릉 가운데 부지가 가장 크고 보존이 제일 잘 된 것이 3호 능원인데, 고고학자들은 이 능원에 매장된 주인이 서하의 개국황제인 이원호(李元昊)일 것이라 추측했다. 서하왕릉에 대한 고고학 연구 역시 3호 능원 발굴을 위주로 하고있다.

멀리서 본 3호 능원

서하 왕릉의 능탑은 󰡒동방의 피라미드󰡓라고 불리고 있다. 능탑은 능성의 서북쪽, 묘실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축은 토담대, 팔각추 모양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상부는 점점 안으로 들어가 계단 모양으로 되었으며 제일 큰 직경이 34미터 가량 된다. 탑 기반의 윗면은 7층인지 5층인지 아직 확정할 수 없다. 능탑은 서하 능원에서 중요하고 또 특수한 건축물로서 중국 기타 지역의 능묘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능탑은 서하 귀족들의 모종 특수한 장례풍속을 반영하고 있다.

3호 능원

놀라운 것은 이렇게 흙으로 쌓아올린 능탑이 약 천 여 년의 세월을 두고 이제껏 원래의 모양을 잃지 않고 보존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최초의 모습이 어떠했는지에 대해서 현재로서는 파악할 길이 없기 때문에 섣부른 예단을 할 수 없다. 하지만 건조한 지역이라고는 해도 여름에는 나름대로 비도 내리고 겨울에는 눈이 내리기도 하는 자연 환경을 생각하면 경이롭다는 생각을 금할 수 없다. 그럼에도 가까이서 보면 현재도 자연적인 풍화 작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가까이서 본 능탑

따라서 언젠가는 이 능탑도 세월의 흐름에 마모되어 사라질 날이 올 것이다. 시간의 흐름 속에 영원한 것은 없나니, 우리가 흘러간 모든 것에 대해 비감한 느낌을 갖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숙명인지도 모를 일이다.

Omnia Mutantur, Omnia Fluunl. (All is in change, all is in flow.)

2004년 4월 30일, 이 3호 능원 동북쪽 궐에서 사람의 얼굴에 새의 몸을 한 ‘조인(鳥人)’의 상을 발견했는데, 고고학자들은 이것이 불경의 설화에 나오는 ‘가릉빈가’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가릉빈가는 산스크리트로 󰡐칼라빈카󰡑의 음사(音寫)인데, 불경에 나오는 상상의 새로서, 󰡔아미타경(阿彌陀經)󰡕 󰡔정토만다라(淨土曼茶羅)󰡕 등에 따르면 극락정토의 설산(雪山)에 살며, 머리와 상반신은 사람의 모양이고, 하반신과 날개․발․꼬리는 새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한다. 아름다운 목소리로 울며, 춤을 잘 춘다고 하여 호성조(好聲鳥)․묘음조(妙音鳥)․미음조(美音鳥)․선조(仙鳥) 등의 별명이 있다. 이 새의 무늬를 조각한 불교가 성행했던 통일신라시대의 수막새 기와들과 구리거울이 지금도 전해 오고 있으며,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연곡사북부도(국보 54)와 연곡사동부도(국보 53)의 상대석(上臺石) 안상(眼象) 안에 각각 이 새가 새겨져 있다. (네이버 검색 참조)

능탑과 능성

이것은 발굴 당시 비교적 완전한 모습으로 출토되었는데, 그 아름다운 조형미는 보는 이로 하여금 찬탄을 금치 못하게 하며, 서하 왕국의 문화 예술을 대표하는 것으로 떠받들여져 닝샤의 상징물로 여겨지고 있을 정도이다.

가릉빈가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