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세 도시 기행-도시, 쑤저우蘇州 5

성 바깥으로

자 이제 우리는 이 번화하고 훌륭한 경관을 자랑하는 도시를 떠나기로 한다.

성을 나갈 때는 창먼(閶門)으로 나간다. 바오언쓰(報恩寺)를 눈앞에 바라보면서 좌회전한다. 하나 더 북쪽 길에는 가로수가 있는데, 곧장 창먼으로 향한다.

이 일대에는 우타이보(吳泰伯)의 사당과 토지신의 사당이 있다. 중국인들의 신앙심도 두텁다. 성 안에는 여러 가지 신이 있다. 마츠모토 고이치(松本浩一, 1953~ )에 의하면, 인간 사회에서 관료제와 황제의 권력의 강화가 진행되었던 시대에는 신들의 세계에서도 천계의 편성이 진행되었다고 한다.

그러니까 인간 세계의 위계를 반영해, 신들의 세계에서도 체제의 정비와 강화가 진행되었던 것이다. 신은 인간의 마음을 복사한 거울이기 때문에 인간 세계에 대응한 조직화가 진행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쑤저우의 신들 사이에도 계급이 있고, 담당자가 있었다. 여기에 있는 토지신은 지위가 별로 높지 않다. 도시 안에서 지위가 높은 것은 역시 도시신(都市神)이다.

중국의 도시에도 도시신이 있다. 성황신(城隍神)이다. 쑤저우의 경우는 오(吳)의 춘선쥔(春申君)이다. 전국시대 초나라의 재상이다. 식객 3천 명이라 일컬어지며, 제(齊)의 멍창쥔(孟嘗君), 조(趙)의 핑위안쥔(平原君), 위(魏)의 신링쥔(信陵君)과 어깨를 나란히 했던 전국시대의 사군자(四君子)였다. 그 역시 한을 품고 모살되었다. 쑤저우의 성황신도 또한 원령신(怨靈神)이었다.

자 이제 창먼을 나온다. 이미 성 밖이다. 대운하가 있다. 일대는 몹시 번화하다. 쑤저우 교외 최대의 행락지인 후츄(虎丘)와도 가깝다. 시로 유명한 펑챠오(楓橋)도 가깝다. 무엇보다도 많은 상인이 모여 있다. 후세에 여기에 성벽을 만들어 둘러싸고 집어넣었다는 말이 나왔을 정도다. 쑤저우의 성문 부근의 번화함은 몇 개의 후세 그림에 남아 있다.

baoen
蘇州 報恩寺 사진 출처全景

수생(水生) 도시 쑤저우

쑤저우를 여행할 때 특히 깊이 인상 받은 것은 물을 잘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는 많이 매몰되어버렸지만, 남아 있는 수로만 봐도 이 물이 쑤저우 사람들의 생활을 떠받치고 있다는 것을 충분히 상상케 한다.

원래 도시에서는 물이 필요하다. 예전에 수운은 도시뿐만 아니라 사람들에게도 중요한 운반 수단이었다. ‘남선북마(南船北馬)’라는 속담과 같이 육로를 중시했던 화북의 도시에서도 이것은 변함이 없었다. 창안(長安)이나 뤄양(洛陽)도 많은 수로를 도시 속으로 끌어들였다. 무엇보다도 도시에 식료품을 공급하는 것은 강남에서[부터 출발한] 대운하였다는 사실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것은 송의 수도 카이펑에서도 변함이 없었다.

당시의 도시 풍경을 묘사한 《청명상하도》에도 도시에 물자를 운반하는 배와 [러시아의] 볼가 강에서 배를 끄는 것을 방불케 하는 배를 끄는 사람들의 모습이 있다. 어디에 있을지라도 도시에서 물은 불가결한 것이다.

그런 사정은 일본에서도 마찬가지다. 이를테면, 간토(關東) 평야에는 많은 수로가 있다. 시부자와 에이이치(澀澤榮一, 1840~1931년)도 젊은 시절에는 그 수계를 이용해 남옥(藍玉) 장사에 힘썼다고 한다. 그리고 그 수계를 따라 많은 도시가 번영했다. 현재 간토 지방의 도시에 중후한 창고 거리(藏街)가 남아 있다. 가와고에(川越)나 사쿠라(佐倉), 이것이야말로 예전 수운의 이름의 흔적(名殘り)인 것이다.

물론 내륙부만 그런 것은 아니다. 바다에 면한 항구 마을이 있고, 많은 배가 정박해 있다. 일본의 근세 해운의 옛날 모습은 시바 료타로(司馬遼太郞)가 《유채꽃 피어있는 앞 바다(菜の花の沖)》에서 생생하게 묘사한 바 있다.

그리고 그런 항구 마을에도 구라(藏)가 있었다. 구라는 곧 창고다. 모든 면에서 저장을 필요로 하는 도시에서 구라야말로 의지해야 할 것이었다. 전국(戰國) 시대에 자치와 자유를 구가했고, 선교사들에게는 동양의 베네치아로 소개되었던 도시, 전란의 시대에 “오만하게 황금의 날들을 즐길 수 있었다”고 했던 도시, 그 경계를 지배한 것은 에고슈(會合衆)와 나야슈(納屋衆)였다. 나야(納屋)는 곧 창고다. 간토(關東)의 수계를 따랐던 도시에 지금도 남아 있는 창고 거리(藏街)야말로 도시가 수운에 의지해서 생겨났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다만 에도시대의 이름의 흔적으로서 사람들을 모이게 했던 이들 창고(藏)의 상당수가 메이지 시대 것이라는 사실은 의외다.

쑤저우도 또한 도시가 수운에 의해서 발전한 것을 말해주고 있다. 수향(水鄕) 지대에서 성장한 도시에 걸맞게 물을 잘 이용했던 경관을 자랑한다. 다만 단순히 성 안에 운하가 많다고 하는 것만이 아니다. 성 밖에도 많은 수로가 있다. 종류는 많다. 쑤저우를 스쳐 지나가는 대운하가 있는가 하면, 조그마한 수로도 있다. 많은 수로에 의해 혜택을 입은 강남에서는 마치 도시가 물속에 떠있는 듯하다. 이 수로에 의지해 사람이 이동하고, 사물이 움직였다. 쑤저우야말로 풍부한 물에 의지해 성립된 도시였던 것이다. 이것은 강남에서 발전했던 도시의 전형적인 모습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런 도시의 생태를 수망(水網) 도시라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형태적인 표현보다도, 수운을 이용해 교묘하게 물자를 옮겨 놓는 모습은 차라리 이것으로부터 양분을 빨아들이는 수생 식물을 연상케 한다. 쑤저우는 그 위에 핀 꽃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강남의 도시는 수생 도시라 부를 수 있지 않을까? 우리가 보아온 경관이 그것을 보여준다. 무엇보다도 《송평강도》가 그런 상황을 보기 좋게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