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일 한시-왕창령王昌齡 從軍行종군행

從軍行종군행/당唐 왕창령王昌齡

青海長雲暗雪山 청해호의 긴 구름에 설산은 어둑한데
孤城遙望玉門關 외딴 성루에서 멀리 옥문관 바라보네
黃沙百戰穿金甲 모래사막 수많은 전투 갑옷 찢어져도
不破樓蘭終不還 누란을 이기지 않곤 돌아가지 않으리

<종군행(從軍行)>은 본래 악부의 한 이름으로, 대개 군대에서 고생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러므로 《악부(樂府)》에 실려 있는 것만도 몇십 편이 된다. 왕창령(王昌齡, 698~757)은 고악부해제(古樂府解題)>>를 쓸 정도로 악부에 조예가 깊었는데, 그런 전통 민요 양식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시각으로 <종군행>을 다시 써 본 것이라 할 수 있다.

얼마 전에 송가인이라는 가수가 콘서트에서 <엄마 아리랑>을 부르는 것을 봤는데 이는 기존의 전통적인 밀양 아리랑, 정선 아리랑, 진도 아리랑에 기반하여, 일제 시대에 수많은 아리랑이 나오고 또 하춘화 같은 가수가 영암 아리랑을 부른 역사적 바탕 위에서 송가인 자신의 아리랑을 만들어 부른 것이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송가인의 <엄마 아리랑>을 들으며 전통적인 아리랑 선율과 아리랑이 갖는 문화적인 의미를 알고 있으며, 또 송가인이 그 곡에 자신의 사연을 담아 그녀의 개성적인 목소리와 창법으로 노래하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지금 왕창령의 이 <종군가>, 즉 <군대에 종군하여 부르는 노래>는 한나라 이후 기존의 수많은 <종군가>의 전통 위에서 자기도 이 변방의 종군에 대해 할 말이 있기 때문에 지은 시이다. 우선 이점을 알아야 한다.

당나라 때는 고구려 외에도 사방의 변경에서 강한 외국 군대와 대치하여 전쟁을 벌이는 일이 많았다. 당군이 수많은 고전을 하고 몰살을 당하기도 하였지만, 최종적으로는 승리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당나라 시대에는 특유의 변새시가 유행한 것이 아닐까 한다. 남의 나라에 계속 진다면 무슨 재미로 그런 시를 짓겠는가? 한일전 축구에서 우리가 계속 지면 누가 그걸 보고 있겠는가? 변경의 강자들은 대략 서쪽으로는 티베트이고 서북은 위구르, 북쪽은 돌궐, 동북은 거란이었다. 당나라 초기엔 돌궐과 고구려가 가장 강성했으나 당나라 입장에선 신라를 꾀어 고구려를 정복한 이후엔 돌궐을 상대하기가 한결 편해졌다. 그런데 당이 고구려에 신경을 쓰는 동안 토번이 매우 강성하여 서역 일대에 지배권을 확대하고 당군의 대군을 청해호 근처에서 격파하기도 하였다. 이런 토번이었기에 당과의 전쟁과 화친이 이어졌다. 안사의 난 때는 당나라 장안을 공격하기도 했다.

이 시에 나오는 청해는 바로 지금의 청해호(靑海湖)로 당시 당과 토번의 전쟁터였다. 옥문관은 서역으로 통하는 관문이자 서역을 방비하던 보루이기도 했다. 청해호에서 옥문관까지는 실제로 수천 리에 달하는 거리라 아무리 눈이 좋아도 눈에 보이는 곳은 아니다. 시에서 말하는 것은 일종의 지리적 의미이자 함축적 의미를 담기 위해 쓴 것으로 보인다.

고성(孤城)은 고군(孤軍)이라는 말처럼 주변에 지원하는 아군이 없는 성을 말한다. 임란 때 순절한 동래 부사 송상현(宋象賢)의 시에 ‘고성’이 나오는 것은 바로 그 동래성에 지원군이 하나도 없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천(穿)’이라는 말은 ‘구멍이 나다.’는 뜻이다. 사막에서 수많은 전투를 치르느라 튼튼한 갑주가 구멍이 뚫리고 닳아졌다는 의미이다.

여기 나오는 누란(樓蘭)은 누란국을 말한다. 누란국은 한나라 시대에 한때 강성하기도 했지만 대개는 돌궐과 한나라 그리고 서쪽의 위구르 계통의 강대국에 끼어 늘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 이 나라는 당나라 때는 이미 없어진 나라이다. 없어진 지 오래되어 유적을 발견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이다.

그럼 없어진 나라 누란을 방어한다는 것은 도대체 무슨 말인가? 어제 소개한 노륜(盧綸)의 <새하곡> 시에 선우(單于)가 밤에 도망쳤다는 대목이 있었다. 선우는 한나라 시기에 쓰던 흉노의 최고 통치자를 의미하는 말이고 당나라 시대에 돌궐의 통치자는 가한(可汗)이라 불렀다. 몽골족들이 최고 지도자를 ‘칸’이라 부르는 바로 그 말이다.

여기서 누란은 바로 토번을 의미한다. 그럼 토번이라 쓰지 왜 누란으로 쓴 것인가? 이는 2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한문의 표현 방식과 관련이 있고 다른 하나는 고사를 끌어와 의미를 풍부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한문은 관청이나 관직, 지명, 사회 풍속 등을 예전 명칭이나 별칭으로 쓰려는 문화가 있다. 가령 승정원의 승지를 고려 때 표현인 승선(承宣)으로 쓰고 홍문관을 옥당이라 하고 안동을 영가(永嘉)라 하고 평양을 기성(箕城)이라 하며, 일제 때 일본인을 칠치(漆齒)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 오래 공부하여 바닥을 다져 놓지 않으면 한문을 읽기 어려운 것은 고사도 고사지만 이런 것이 사실 어렵다. 대개 이름도 자나 호, 관직 등으로 쓰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으면 해당 사람을 알기 어렵다. 실제로 <<춘추좌전>>에는 동일 인물을 한 단락 안에서 다르게 표현한다.

다른 하나는 고사를 쓰기 위한 것이다. 지금 만약 토번을 격파한다고 하면 ‘토번을 이기고 싶다.’는 의미만 들어오지 ‘토번을 이기게 되어 있다.’는 확신은 들어오지 않는다. 그런데 예전에 누란이 흉노와 한나라 사이에서 오락가락 하다가 흉노에 붙었다 곽광(霍光)의 정벌을 당한 일이 있다. 그러니 이렇게 쓰면 토번도 화친을 번복하다가 지금은 강성하지만 결국 예전 누란처럼 망하고 말겠구나 하는 의미가 들어오는 것이다.

한문은 글자에 상대방에 대한 차등이나 존칭, 가치 판단을 부여하거나 포폄의 의미를 담아서 쓰는 경우가 많다. 번역에서는 이런 것을 다 반영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한문으로 된 글은 번역에 반드시 부가적인 설명을 해야만 하는데 주석의 영역에서 다 다루지 못하기 때문에 이 설명 역시 번역의 한 행위로 인정되어야 한다. 현재 보통 해제에 그런 의견이 반영되고 대중서에 설명이 붙은 경우가 많지만, 본격적인 번역에도 그 글의 매우 핵심적인 가치는 설명을 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누란의 미녀’로 유명한 누란박물관, 사진@윤태옥

365일 한시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