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희虞姬에 관하여3

초패왕 항우는 한나라 유방의 군사에게 포위된 해하(垓下) 전장에서 우희와 마지막 술잔을 주고받으며 이별의 노래를 불렀다.

힘은 산을 뽑았고 기개는 세상을 덮었지만,
때가 불리하니 오추마도 나아가지 않는구나.
오추마가 나아가지 않으니 내 어찌 하리오?
우(虞)여! 우여! 그대를 또 어찌할꼬?
力拔山兮氣蓋世, 時不利兮騅不逝.
騅不逝兮可奈何? 虞兮虞兮奈若何?

우리에게 잘 알려진 「해하가(垓下歌)」다. ‘역발산, 기기세’ 또는 ‘발산개세’라는 고사성어가 여기에서 나왔다. 막다른 골목에 몰린 영웅 항우의 어찌할 수 없는 심정을 이보다 더 비장하게 읊기는 어렵다. 『서한연의』(원본 초한지) 제83회에 의하면 우희도 항우의 「해하가」에 답가를 불렀다. 이른바 「화해하가(和垓下歌)」다.

한나라 군사는 이미 우리 땅을 공략했고,
사방에는 초나라 노래 소리뿐일세.
대왕의 의기도 다했으니,
천첩이 어찌 삶을 도모하리오?
漢兵已略地, 四面楚歌聲.
大王意氣盡, 賤妾何聊生?

정사인 『사기』 「항우본기」와 『한서』 「항적전」에는 우미인이 항우에게 화답하는 노래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을 뿐 노래 가사는 없다. 그럼 이 노래 가사는 언제 누가 처음 기록했을까? 지금 남아 있는 기록에 의하면 당(唐)나라 때 역사학자 장수절(張守節)이 『사기정의』에서 「항우본기」에 주석을 달면서 우미인의 이 노래를 처음 기록했다. 장수절은 초한쟁패 시기보다 거의 900~1000년 이후 사람인데 어떻게 우미인의 노래 가사를 알았을까? 장수절은 육가(陸賈)의 『초한춘추』에서 인용했다고 밝혔다.

육가는 한나라 초기 초(楚) 땅의 학자로 사마천이 『사기』를 쓰기 전에 초한쟁패 역사를 모아 『초한춘추』를 저술했다. 후한 시대 반고(班固)는 『한서』 「예문지(藝文志)」를 쓰면서 육가가 『초한춘추』라는 책을 지었다는 사실을 기록해놓았다. 이 『초한춘추』는 당나라 시기까지 전해졌고, 각종 전적에 『초한춘추』를 인용한 단락이 남아 있으며, 당시 장수절, 유지풍(劉知風), 사마정(司馬貞) 등의 학자들이 『초한춘추』를 읽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러나 송나라 이후로는 『초한춘추』에 관한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대개 그 시대 이후로는 『초한춘추』가 완전히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당나라 때까지 전해진 육가의 『초한춘추』를 장수절이 읽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고, 한나라 초기의 학자 육가는 항우와 거의 동시대인이므로 우미인이 항우에게 화답한 노래를 잘 알고 있었을 터이다. 이런 사실이 우미인의 「화해하가」를 부정하기 어려운 정황이다.

문제는 문학 특히 중국 고대시를 연구하는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즉 문학사의 상식으로 비춰보면 중국의 오언시는 대체로 후한 반고(班固)의 「영사시(詠史詩)」에서 정형화되고, 후한 중후기의 「고시십구수(古詩十九首)」에 이르러 성숙된다. 그런데 초한쟁패 시기에 우미인의 노래처럼 형식적으로 완성된 오언시가 지어졌으니 「화해하가」를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시피 중국 최초의 민요모음집인 『시경』 「국풍(國風)」의 가사는 4언 위주다. 그러나 『시경』의 4언 위주의 리듬은 이후 중국의 강역이 넓어지고 이민족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음악적 변화를 보이기 시작한다. 따라서 진한(秦漢) 교체기에 이미 중국 민요 리듬이 바뀌면서 5언이나 7언 리듬이 형성되기 시작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한서』 「외척전」에 실려 있는 「척부인가(戚夫人歌)」도 한나라 초기 노래인데, 앞의 3언 두 구절을 제외하면 뒤의 네 구절은 매우 전형적인 5언시 양식을 보인다. 또 조금 후대 한 무제 시기에 궁궐 음악 관청인 악부(樂府)의 최고책임자(協律都尉)로 임명된 이연년(李延年)도 5언 위주의 ‘신성곡(新聲曲)’을 다수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흐름에 비춰보면 우미인의 「화해하가」는 중국 5언시의 가장 이른 작품 가운데 하나로 인정할 만하다. 즉 초한쟁패 시기에 5언시가 아직 문학사의 큰 흐름을 형성했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5언시 리듬이 일정 정도 민간에 유행했고, 그것이 우미인의 노래로 드러났다고 말할 수 있다. 『서한연의』(원본 초한지)는 비록 소설이지만 역사에 바탕을 둔 연의소설이므로 이와 같은 기존의 다양한 기록물을 참조하여 소설의 플롯을 강화했음을 알 수 있다.

yujji3
사진출처: Baidu baike)